무자(태) - 경금이 자식, 식신이 사종태궁, 반듯하다. 현모양처를 원함
자의형상 - 無子(자식을 기다리는 모정, 업둥이)
민둥산의 쥐(재복, 총명, 보수적)
천지합덕하는 명으로 무척 총명하다.
가정은 대체로 안정되어 있으며 천지합덕은 충(沖)을 두려워한다.
"산과 바다의 형상"이니 출생지와 인연이 있다. "산속의 다람쥐" 상은 근본적으로 심성이 착하고 재복이 있음을 상징한다.
더 큰 것을 바라면 손해를 보게 됨을 암시한다.
자수는 앉은 자리가 추우니 항상 오를 불러와 어머니와 대화를 하려고 하며 모정을 애타게 그리지만, 그 덕이 부족하고 모선망(母先亡)에 고독감을 느끼기 쉽다.
거부가 되기는 어렵지만 항상 돈이 있어 보이는 유형이며, 탈재가 많은 편이다.
보수적인 성향에 꼼꼼하고 차분하지만 간혹 비인(飛刃)의 과격한 기질이 드러나기도 한다.
남명은 고집은 있으나 박력이 없으니 대업을 성취하기는 힘들고, 귀가 엷어 손해를 보는 일이 있다.
미인이 많이 따르며 여자를 다루는 솜씨는 뛰어나고, 자손궁은 패지가 되어 덕이 두텁지 않은 편이다.
여명은 무자(無子)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자식과의 인연이 박한 편이다.
남 보기에는 팔방미인에 현모양처 감이지만 정작 자신은 근심도 많고 변동이 잦은 편이다.
남편덕이 약한 편으로 배우자는 무능하거나 한량이기 쉽다.
타자양육에 자손의 터울이 있는 경우가 많고, 신앙을 가지나 오래가지 못하며 재복은 있는 편이다.
자수 야반재는 야식을 즐기는 취향을 암시하기도 한다.
胎 육수(六秀) 비인(飛刃殺) 구추방해(九醜妨害) - 사주용어 참조
육친의 정을 그리워하고, 마음속에 인정이 있으나 밖으로 표현하지 않는 성격이다.
현처를 두게 되나, 다른 여자를 두지 않으면 재취하거나 독신이 된다.
여성은 마음이 약해 눈물이 많고 재복이 좋아 지갑이 비는 일이 없다.
건강
비위와 요통에 병이 오는 경우가 많다
신장, 방광, 위장 등의 질환을 조심해야 하며, 비뇨기 계통이 약하고 여자는 요통, 자궁질환 등을 겪기 쉽다.
직업
금융기관, 무역, 경리, 보험 계통이 적합하고, 토건, 농수산품, 의사, 특수 기술, 종교인, 역술인 들에서도 종종 발견된다.
'일주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44 丁未(丁9 乙3 己18) (0) | 2023.03.21 |
---|---|
24 丁亥(戊7 甲7 壬16) (1) | 2023.03.20 |
34 丁酉(庚10 辛20) (4) | 2023.03.20 |
54 丁巳(戊7 庚7 丙16) (0) | 2023.03.20 |
4 丁卯(甲10 乙20) (0) | 2023.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