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己丑(癸9 辛3己18)
기축(묘) - 성실함,고독박명, 고지식, 고집, 색욕, 업상 교육자 월화천반의 비식재 구조로 성실함의 아이콘이다. "밭을 가는 소"의 형상은 근면과 성실을 의미한다. 심지가 강직하고, 우둔하므로 홀로 독행하는 성질이 있다. 초지일관하는 기운은 대개 중년 이후 좋은 결실을 맺게 됨을 암시한다. 한편 고집이 있고, 신금으로 인해 욱하는 기질과 거친 언행을 보일 때가 있다. 탕화로 화상의 흉터나 수술 자국, 부상 등으로 몸에 흉터를 남기기 쉽다. 일간 자신이 동토에 입묘되어 고독방명이기 쉽다. 음기가 강해 사람을 쉽게 믿지 못하고 의심하는 면이 있으며, 누구와도 함부로 친해지려 하지 않는다. 인품이 고지식하고 인정이 많으며, 겉으로는 용맹하면서도 뒤는 무른 특성이 있다. 처복은 약한 편으로 혼전 경험이 있는 ..
2023. 3. 22.
태극귀인(太極貴人)
갑자(甲子), 갑오(甲午), 정묘(丁卯), 정유(丁酉), 무진(戊辰), 무술(戊戌), 기축(己丑), 기미(己未), 경인(庚寅), 신해(辛亥), 임신(壬申), 계사(癸巳) 태극귀인에 해당되며, 태극은 시종(始終)을 의미하여 종래 성과를 거두는 기쁨을 암시한다. 원래 태극귀인은 생년(生年)을 위주로 보나, 일지(日支)에서도 보며 격국(格局)의 청순함을 요한다. 격국이 우수하면 입신양명(立身揚名)한다는 것이다.
2023.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