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현침6

정묘일주 4 丁卯(甲10 乙20) 정묘(병) - 철쇄개금 정화위성 묘위경림별과토끼 (로맨티스트, 순수, 동정심, 명석, 한량기, 음유시인) 촛대 (흔들림, 심적변화, 답변, 질투심) 천간동물 - 족제비 인성 - 건록 제왕 식상 - 욕종병궁 병종병궁 (무묘목, 기묘병) 식도락가, 음식까탈, 자식 조년이향 재성 - 절태 (경묘태, 신묘절) 묘파의 현침 - 생리사별 관성 - 사종병궁(임묘 사) 생종병궁(계묘 장생) 도화살 - 묘 망신살 - 사 역마살 - 신 과숙 - 축 고신 - 사 공망 - 술, 해 인성록왕 일지 묘의 지장간이 목으로만 구성되어 편인의 기질이 강하게 나타난다. 재성이 절태로 종하여 부친과 일끽이 단절하기 쉽다. 일지 인수는 지적 수준이 높고 지혜와 총명을 나타내며 중년이후에도 변함없는 학구열을 암시한다. 인정 많고 똑똑하며 포.. 2023. 4. 15.
8 辛未(丁9 乙3 己18) 신미 - 잿밥에 관심, 탐재괴인 백양은 순박하고 겸손한 성정을 시사한다. "해질 무렵의 양"은 울타리 속으로 들어가야 하므로 이니 쓸쓸하고 적적한 맛이 있다. 신의가 있고 안정된 다정한 성품인데, 돌연 돌변하여 냉정성을 보일 여지가 있다. 주거, 직업, 환경 등에 변화가 많은 편인데 이는 미, 천역성에 연유한다. 신의 숙살기는 한번 마음이 틀어지면 끝까지 풀리지 않는 대단한 고집을 보이기도 한다. 재고의 성분은 재물의 성취에 힘을 기울이고, 욕심이 있지만 처를 고생시키는 편이다. 또한 탐재괴인하는 기운이 있어 신앙에 뜻을 두지만 오래 가지 않는다. 조토는 생금하는 작용이 미약하여 학문이 중단되기 쉽다. 자의 상으로 글씨나 서예에 소질을 보인다. 재복은 있는 편이다. 여연의 일주로 바깥 활동을 하면 혹 정.. 2023. 3. 24.
28 辛卯(甲10 乙20) 신묘 - 건명 (여자가 집안일을 흔든다) 성격이 담백하고 경우가 밝으며 재물을 많이 만져보는 명인데, 재로 만족해야지, 관까지 욕심을 부리면 천파의 형을 당한다. 학문은 도중하차에 부모와는 불합한다. 천지덕합 되는 일주는 큰 애로사항을 겪지 않으나, 천지불합은 풍파가 있다. 흰 토끼의 상은 침착성이 부족하여 일의 진행에 차질이 있다는 점과, 의심이 많아 소심한 기질을 암시한다. 자의상 자칫하면 하체가 불구가 되는 수 있으니 주의할 일이다. 활인하고 적덕을 쌓아야 자신과 배우자의 신체 이상을 면한다. 남명은 편재의 성분이 강해 배우자보다 애인을 더 생각하는 기질이 있다. 이렇게 되면 처궁이 부실해지고 자신이 악처로 만든 격인데, 삼처의 인연이라 했다. 현침이 가장 강한 일주로 심신의 고통이 따르며 유혹에 .. 2023. 3. 24.
38 辛丑(癸9 辛3 己18) 신축 양 - 부모원망, 호불호 분명 신용과 의리가 있고, 근면하며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반드시 결실을 보는 남다른 근기가 있다. 첫인상은 다소 냉정해보이고, 아집이 대단하다. 효신은 조실자모인데 아니면 편모슬하며 부선망에 이복형제가 있기도 하다. 성격이 꼼꼼하고, 무척 현실적인 성격으로 향후 다가올 일에 대한 생각이 많은 편이다. 남의 일로 인한 걱정이나 고민도 적지 않다. 또한 신금은 이용가치가 없으면 냉혹하게 잘라버리는 기질이 있는데, 호불호가 분명하다 볼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은 자기 마음에 드는 상대에 대해서는 최선을 다해 보호할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일지 편인은 건드리지 않으면 양반이나, 일단 누가 자존심을 건드리면 참지 못한다. 직관적으로 감지하는 능력이 뛰어나므로 대.. 2023. 3. 24.
31 甲午(丙10 己11 丁10) 큰소리 뻥뻥, 유시무종(시작은 있으나 끝이 없다.) 상관의 기세가 여과 없이 표출되므로 자신의 재능을 과신하고 타인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자신의 마음에 들면 매우 잘 하고, 월등한 상대를 만나면 완전하게 굴복한다. 오화 상관 지장간에 기토인 정재와 합토하므로 재물에 대한 집착이 강하고 인색한 성향을 드러내기도 한다. 대개 영리하고 수단이 좋으며, 언변과 재치가 뛰어나다. 용기가 있어 보이나 담력은 적은 편이다. 일지 오화(마)는 객지 생활이나 분주다망을 암시하기도 한다. 인정이 많고 다정다감하며 적응력이 빠르다. 다정이 병이 되어 내 것을 주고도 좋은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처세 면에서 답답해 보일 때가 있다. 비밀 없이 행동하므로 손해를 보는 격이다. 탕화(湯火)는 때때로 자신을 .. 2023. 3. 16.
현침살(懸針殺) 甲, 申, 卯, 午, 辛 (미)이 다섯 자를 현침(懸針)이라 한다. 영성발달, 민감, 까탈 의약업계, 군인, 양복점 등 의류제조업으로 성공하며 가사, 이·미용에도 솜씨를 발휘한다. 흉한 작용으로는 몸을 잘 다치고 심하면 총에 맞거나 칼에 찔려 죽고 교통사고도 당한다. 時에 현침이 겹치면 그 작용력이 무척 강하다. 2023. 3. 16.
728x90